도 5를 참조하여, 구동 트랜지스터(DRT)에 대한 이동도 센싱 원리를 간단하게 [0095] 설명하면, 구동 트랜지스터(DRT)
의 문턱전압(Vth)를 제외한 전류능력 특성을 규정하기 위해서,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게이트 노드(N2 노드)에
일정 전압에 △Vsense(=△Vth)를 더하여 인가해준다.
[0096] 이렇게 해서 일정 시간 동안 충전된 전압의 양을 통해서,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전류능력(즉, 이동도)을 상대
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상을 위한 보정 게인(Gain)을 구해낸다.
[0097] 이러한 이동도 센싱은 구동 트랜지스터(DRT)가 기본적으로 턴-온(Turn-On) 되어 있으므로, 센싱 속도가 빠르다
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동도 센싱 모드를 패스트 모드(F-Mode)라고도 한다.
[0098] 전술한 이동도 센싱을 통한 이동도 보상은, 화면 구동 시 일정 시간을 할애하여 진행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
써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파라미터를 센싱하고 보상할 수 있다.
[0099]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센싱 동작 시, 서브픽셀 회로 내 노드의 초기화 과정을 나
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센싱 동작 시, 서브픽셀 회로 내 노드의
초기화 과정에 대한 서브픽셀 회로의 모델링 도면이다. 단,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N1 노드 및 N2 노드 각각은
소스 노드 및 게이트 노드인 것으로 가정한다.
[0100] 도 6을 참조하면,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센싱 동작은,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소스 노드(N1 노드)와 게이트
노드(N2 노드)를 초기화하는 초기화 과정을 필요로 한다.
[0101] 서브픽셀 회로는 각 노드(N1 노드, N2 노드)의 초기화 성능에 따라서 화소 전류 특성이 바뀌므로, 초기화 성능
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0102] 특히, 센싱 트랜지스터(SENT)는, 초기화 성능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 중 하나이다.
[0103] 도 6을 참조하면, 도 3에 예시된 3T1C 구조의 서브픽셀 회로에서는, 일 예로,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소스 노
드(N1 노드)의 초기화전압(초기화 전원)으로서 기준전압(Vref)을 사용할 수 있다.
[0104] 이러한 초기화전압은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게이트 노드(N2 노드)와 소스 노드(N1 노드)의 전위차(Vgs)를 결
정하는데 중요한 기준이 되는 전원이다. 즉, 초기화전압은 서브픽셀 회로의 전류 값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기준
이 되는 전원이 된다.
[0105] 도 6을 참조하면, 초기화전압을 서브픽셀 회로 내 입력하는 기능을 센싱 트랜지스터(SENT)가 담당한다.
[0106] 따라서, 센싱 트랜지스터(SETN)의 특성 편차가 발생할 경우,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소스 노드(N1 노드)를 초
기화전압(예: Vref)으로 초기화할 때,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소스 노드(N1 노드)가 실제로 초기화된 전압에
편차가 유발될 수 있다.
[0107] 도 6을 참조하면, 초기화 과정에서, 구동전압(EVDD) 및 기준전압(Vref)의 전위차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DRT)
및 센싱 트랜지스터(SENT)를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0108] 실제로, 구동 트랜지스터(DRT) 및 센싱 트랜지스터(SENT) 각각은 저항 성분을 가질 수 있다.
[0109] 따라서, 초기화 과정에서 서브픽셀을 모델링 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트랜지스터(DRT) 및 센싱 트
랜지스터(SENT) 각각은 직렬로 연결된 저항으로 모델링 될 수 있다.
[0110] 도 7을 참조하면, 센싱 트랜지스터(SENT)의 전기적인 특성이 나빠지는 경우, 즉, 센싱 트랜지스터(SENT)의 문턱
전압이 높거나 센싱 트랜지스터(SENT)의 이동도가 낮은 경우, 센싱 트랜지스터(SENT)의 저항 값이 높아지고, 이
로 인해, 초기화 과정에서,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소스 노드(N1 노드)를 기준전압(Vref)으로 초기화하지만,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소스 노드(N1 노드)의 전압(Vs)이 기준전압(Vref)보다 높아지게 된다.
[0111] 따라서,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게이트 노드(N2 노드) 및 소스 노드(N1 노드) 간의 전위차(Vgs)가 작아짐으로
써, 구동 트랜지스터(DRT)를 통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흐르는 전류가 감소한다. 이러한 전류 감소는 해당
서브픽셀의 휘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0112] 이러한 현상은, 해당 서브픽셀의 휘도 저하뿐만 아니라, 각 서브픽셀에서의 전류 편차를 유발시켜 얼룩 현상 등
의 화질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0113] 아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센싱 트랜지스터(DRT)의 전기적인 특성이 나쁜 경우에 발생하는 휘도 저하 및
화질 불량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동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