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요실금및대변실금을예방하며케겔운동의효과를패드검사
와 질 회음근 수축력으로 확인한 연구 결과에서도 요실금 및 대변
실금 예방 효과를 보여주었다. 케겔운동의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표준화되어 있지 않지만, 본 연구에서도 나타났듯이 골반근육이
강화되는 일치된 연구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케겔운동은 간호측면
에서 접근가능한 안전한 중재방법임을 재입증하고, 케겔운동의 효
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또한, 이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국내에서도 임상 현장에서
간호전문가가 양성되어 효과적인 케겔운동 방법을 올바로 교육하
고 적용함으로써 임부 및 출산여성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는 간호
중재가이루어져야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