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4월 11일 토요일
서산 야생동물 치료센터 교육 동물 – ① 독수리 ‘광주’
서산 버드랜드 내 야생동물 치료센터를 방문하는 사람들의 시선을 단번에 사로잡는 한 동물이 있습니다. 바로 하늘의 제왕(?)이라고도 불리는 독수리지요!!
독수리 '광주'
독수리는 맹금류 중에 가장 큰 새로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에 찾아오는 겨울 철새입니다. 서산 야생동물 치료센터를 방문 하는 어린 학생들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큰 독수리가 우리나라에도 존재 하냐고 많이들 물으시는데, 도심지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독수리는 많이 생소한 동물일 수 있겠지만, 경기도 파주, 연천, 강원도 철원과 춘천, 충남 천안, 아산, 서산, 전남 순천, 해남, 구례, 경남 산청, 하동, 진주, 고성 등 먹이를 공급하고 있는 많은 지역에 매년 찾아오는 손님으로서 쉽게 볼 수 있답니다.
독수리에 대한 더 많은 내용을 알고 싶다면, 아래의 블로그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http://cnwarc.blogspot.kr/2013_02_01_archive.html#uds-search-results
서산 치료센터에 있는 독수리의 이름은 '광주'인데요.
저렇게 큰 독수리가 어떻게 해서 야생동물 치료센터에 오게 되었을까요?
13-056 독수리 '광주'는 2013년 1월 전라남도 광주 서구 매월동에서 전깃줄에 걸린 채로 발견이 되었습니다.
아마 전깃줄에 부딪히면서 오른쪽 날개가 부러지게 되었고, 안타깝게도 그 부러진 날개와 깃털에 의해 전깃줄에 엉켜 매달려 있는 상태로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어쩔 수 없이 수술을 통해 오른쪽 날개를 절단 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구조 당시 방사선 사진
오른쪽 날개 절단 수술
한쪽 날개가 잘린 ‘광주’는 이제 더 이상 하늘을 날수가 없게 되었고, 당시 약 3살 정도로 추정된 이 어린 독수리 ‘광주’는 영구장애를 갖고 다시는 야생으로 돌아 갈 수가 없게 됩니다.
그래서 ‘광주’는 많은 사람들한테의 적응과 순치를 포함한 많은 훈련을 통해 현재 버드랜드 내 야생동물 치료센터의 교육조류가 되었지요!!
'광주'는 이곳에서 견학 온 사람들에게 자신과 같이 전깃줄에 의해 다치는 야생동물에 대한 이야기를 전하면서 새들이 전깃줄에 왜 부딪히는지와 그러한 사고를 최소화 하기 위한 방법이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생각 해 보게 함으로써 ‘광주’와 같이 전깃줄로 인해 다치는 야생동물이 줄어들 수 있게 알리는 교육을 맡고 있죠.
좁은 계류장 안에서 생활을 할 수 밖에 없는 ‘광주’
한쪽 날개가 잘렸다 하더라도 좁은 계류장에서 하루 종일 있는 것은 답답하기 짝이 없을 겁니다.
계류장 내에서 바깥을 바라보는 '광주'
그런 광주를 위해 되도록이면 하루 1번씩은 밖으로 나와 산책을 다니곤 하죠!!
재활사와 함께 산책하며 먹이훈련 중
산책을 하기 전엔 꼭! 필수적으로 해야 하는 과정이 있는데, 그건 바로 체중 측정!!